유리병 분리배출은?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일반 쓰레기와 함께 매립되는 폐유리는 50만 톤이상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버려지고 매립되는 유리는 흙속에서 분해되기까지 100만 년이나 걸린다는 얘기도 있다고 합니다. 분해가 되지 않는다는 표현이 맞을정도라고 합니다. ㅜㅜ
[올바른 유리병 분리배출은 이렇게~]
1. 내용물 비우기 & 물로 꼭 헹궈주기
2. 라벨 제거하기
3. 병 색상별 분리수거함이 있다면
색상별 분리 배출하기
일부 국가(예.스위스)에서는 색상별로 분류하고 있다고 하며 유리병의 경우 동일한 색상끼리 분류해서 배출/수거하면 재활용률이 올라간다고 합니다.
깨진 유리병은 재활용이 되지 않기에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여야 하며 양이 많은 경우 주민센터에서 판매하는 특수규격 마대를 구입해서 별도 배출해야 된다고 합니다.
깨진 유리를 활용하여 건축자재로 만드는 기술도 나오고 있다고 하니 앞으로 깨진 유리도 재활용 많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유리병은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원형 그대로 오염없이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며, 박카스, 비타500 같은 갈색 병은 20회까지도 재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앗! 그리고, ‘빈 용기 보증금 제도’가 있어요!
소주병, 맥주병, 음료병 등 라벨에 보증금 환불이라는 문구가 있으면 소매점에서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용량에 따라서 개당 79~350원까지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챌린저님들~
유리병은 비우고 헹구고 라벨제거해서 원형 그대로 분리배출 꼭 기억해주시구요,
뚜껑은 분리 또는 닫아서~ 모두 가능하지만
입구 부분이 깨지기 쉽고, 오염 방지를 위해서
닫는 것이 조금 더 합리적이라고 합니다.

그린이 돌고 도는 아름다운 지구 세상~
닥터주부의 새이름 그린고라운드~
그고라 자주 들려주세요!
감사합니다.

[참조문헌]
‘잘 버리면 살아나요’, 손영혜 지음, 목수책방
‘똑똑하게 버리면 재활용률이 높아진다’_한국수자원공사_네이버포스트
댓글 64 (작성 시 건당 100원 적립해 드려요.)
대단해요:)
참고할게요!
좋아요
감사해요
유리병이 건축자재로 재탄생 된다니 놀랍네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